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경희 한의원 칼럼] 트라우마를 받았으면 한숨을 쉬세요

 ◈ 복식호흡 vs 흉곽호흡 호흡은 우리 몸의 생명유지활동을 위해서 산소를 들이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데 신선한 산소를 들이 마셔 세포 속 에너지대사를 위해 쓰여지면 이산화탄소로 바뀌면서 밖으로 원활히 배출해야 우리의 생명력과 힘, 생존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공기가 폐로 들어갈 때 횡격막과 갈비뼈 근육이 수축하면서 음압이 생겨야 폐가 충분히 팽창하면서 공기가 들어오게 되고 반대로 횡격막과 갈비뼈 근육이 이완하면서 폐는 수축하면서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는데 건강하고 젊은 사람들의 호흡은 주로 횡격막과 복근을 이용하여 깊고 느리게(복식 호흡) 하는 반면에 스트레스가 많고 나이가 들수록 갈비뼈와 흉곽의 움직임을 주로 쓰는 잘못된 짧은 흉곽호흡을 하게 된다. 그런데 나이가 들거나 과거 외상이나 교통사고를 당했거나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로 트라우마가 생겨서 PTSD가 있는 분들은 대부분 호흡이 약하고 짧게 된다. 폐호흡을 위한 기본적인 횡격막과 복근의 호흡이 약해짐에 따라서 충분한 산소공급을 위해서 우리는 가슴 흉곽쪽 근육과 목주변 근육을 좀 더 이용해서 쓰려는 경향이 있다. 숨을 쉴 때 목과 어깨, 흉곽, 가슴 쪽의 근육을 더 많이 쓰는 분들이 있다. 숨을 헐떡인다고 해야할까? 특히 일자목과 구부정한 어깨와 등, 골반이 삐뚤어진 분들을 보면 대부분 호흡이 좋지 않다.   ◈ 트라우마와 복근 & 횡격막 과거 정신적 트라우마를 받은 분들을 검사해보면 대부분 복근과 횡격막이 약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누운 상태에서 두다리를 위로 30도 정도 올리게 한 후에 의사가 환자의 두 다리를 테이블 바닥 쪽으로 누르면서 지탱해보라고 하면 호흡이 약하고 심리정신적으로 우울하고 불안한 분일수록 힘을 주지 못한다.   복근이 약하고 복식호흡이 안되는 것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뇌의 시상하부와 편도체 등의 변연계, 기저핵 등이 흥분하면서 뇌줄기 속의 호흡에 관여하는 호흡중추를 흥분시킨다-호흡조절중추(pneumotaxic center)와 지속흡입중추(apneustic center)는 뇌줄기 속에서 서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한 뇌중추에서의 호흡조절센터장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데 몸이 좋지 않고 스트레스가 많으며 자세가 평소 좋지 않은 분들은 이 호흡중추들의 기능이 흥분 또는 저하가 되면서 한숨을 지나치게 쉬든지, 숨을 얕고 빠르게 쉬는데 바로 횡격막이 이러한 뇌호흡센터 불균형의 직격탄을 맞게 된다는 것이다.     ◈ 만성 허리통증은 횡격막과 장요근이 해결 만성 허리통증으로 시달리는 분들의 근본원인을 잘 추적해보면 언제가 어릴 때 또는 성인이 된 후의 스트레스와 트라우마가 촉발이 되어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지내다가 허리를 다치거나 이유없이 허리가 아픈 경우가 있는데 이때 횡격막 기능은 여지없이 떨어져 있는 것이다. 호흡이 좋을리가 없다는 것이다. 횡격막은 특히 허리뼈의 중심을 잡아주는 다열근(multifidus)근육과 상호보완적이라서 허리디스크가 있든지 협착증이 있든지 척추전방전위증이 있든지 간에 다열근과 장요근과 함께 횡격막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핵심이다. 위로는 횡격막, 아래는 골반근육, 척추는 다열근, 앞쪽은 복근 중 특히 복횡근이 4가지 코어근육을 형성하는 핵심이며 요가와 필라테스 등의 운동이 이 네가지 운동을 키워주는 좋은 운동인 셈인데 이 중에서도 호흡이 항상 관여하기 때문에 충분히 깊은, 천천히 하는 호흡과 매칭하면서 네가지 코어근육을 해줘야 부작용이 생기지 않는다. 그런데 이 네가지 코어근육은 바로 뇌에서 조절이 됨을 잊어선 안된다. 우리의 척추와 근육, 힘줄 등은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특히 코어근육은 뇌호흡중추와 직접 소통을 하기 때문에 뇌기능이 약하면 아무리 4가지 근육을 엄청나게 운동을 해줘도 효과가 나지 않는다.   브레인의 기능이 정상인가? 특히 소뇌와 기저핵 검사에서 정상반응이 있는가? 지난 칼럼에 소개한 마음이 아니라 뇌가 불안한 겁니다 책에서 나오듯 전전두엽(도파민 관련)에 문제가 있는지, 대상회(Cingulate gyrus)가 문제가 되어 강박적인 삶을 사는지, 뇌가 너무 예민하고 여려서 감정기복이 너무 들쑥날쑥인 삶, 끝으로 너무 조심성이 많고 경계심이 큰 불안장애를 달고 사는 삶인지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 과호흡증후군-감정중심형, 옥시토신 필요 뇌는 호흡중추를 통해서 원활한 폐호흡을 위해 늑골과 척추근육, 횡격막과 복근과 소통하고 있는데 만일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뇌기능이 떨어진 사람이라면 당연히 호흡도 안되고 척추도 안 좋을 것이다. 또 한가지 중요한 점은 뇌중추와 말초 쪽에서는 몸 속 산소와 이산화탄소, 산과 알칼리 상태를 시시각각으로 체크하고 신호를 보내주는 수용체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몸 속 신진대사를 통해서 파생된 이산화탄소가 제대로 잘 밖으로 배출이 되는지, 주변 환경에 맑은 공기가 충분히 있는지, 환경호르몬이나 독소들, 공기 속 미세먼지 등이 얼마나 내 몸에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24시간 감별해주는 기관들이 있어서 뇌와 소통하면서 폐호흡을 작용을 하는 것이다. 스트레스로 과호흡이 유발되면 불안을 야기하는데 이 때 호흡을 너무 심하게 많이 하면 체내에 이산화탄소가 밖으로 나가게 되면서 폐는 호흡성 알칼리성으로 바뀌게 되는데 칼슘이 함께 결핍이 된다.   이산화탄소는 부족하면서 나트륨대사가 더욱 기승해서 신경세포를 자극하다 보면 쉽게 흥분하고 불안하면서 마치 저혈당 증상처럼 식은땀이 나고 손발이 차면서 얼굴이 창백해진다.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나도 모르게 떨리게 되고 턱관절이나 다리 등의 근육에 쥐가 난다. 어지럼증이 심해서 마치 이석증이 아닌가 걱정도 하게 되고 불안하고 호흡곤란이 지속되다보니 응급실을 찾게 되는데 검사 상 이상은 없고 천천히 호흡을 시키면서 종이봉투로 코와 입을 막은 채 심호흡 운동을 천천히 하다보면 어느새 과호흡증후군이 사라지게 되는 경험을 해보신 분들도 계실 것이다. 봉투로 코와 입을 막고 하는 심호흡치료는 함부로 집에서 할 일은 아니다. 잘 못하면 호흡곤란이 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보통 과호흡증후군이 오는 분들을 닥터 다이엘 아멘의 책에 나온 설문으로 해보면 예민한 뇌 타입, 공감에 능하고 외부 자극에 취약한 감정중심형 스타일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시상하부에서 만들어지는 옥시토신 호르몬 혹은 포옹 내지 사랑의 호르몬으로 불리는 호르몬이 부족한 것이다. 어릴 때 사랑을 받지 못하고 크게 상처받고 위협적인 환경에서 성장한 사람들일수록 이 옥시토신 호르몬이 부족하다. 사랑과 선물, 접촉, 음악, 눈맞추기, 기도, 반려동물 등의 삶이 필요한 분들이다.   ◈ 생리적 한숨이 나쁜걸까?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한숨이 나오는 걸 보고 산소부족이라고 말씀들 하신다.   우리는 평균 5분에 1번 한숨을 쉬고 1시간에 12번, 하루에 192번 정도의 한숨을 쉬고 있다. 폐포를 통해서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들락날락 하는데 한숨을 쉬게 되면 이 폐포가 잘 열리면서 원활한 호흡을 해주고 산소를 더욱 잘 흡수케 해주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산소가 부족하거나 호흡성 산성 상태가 되면 자주 한숨을 통해서 산소공급을 충분히 해주는 것인데 이 때 관여하는 뇌줄기 속의 고립로핵과 호흡복합체(pre-botzinger complex)의 작용으로 뇌세포는 새로운 산소와 함께 활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숨을 두번 들이마신 후에 한번 천천히 깊게 내 쉬는 동작이 가장 이상적인 한숨을 쉴 때의 동작인데 이 때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미주신경계 중에서도 앞쪽 미주신경계의 활성화로 인해서 심신이 이완되고 편안하고 안정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내가 마음이 편치 않고 불안하고 우울할 때는 오히려 적극적으로 숨을 두번 들이마시고(연속해서) 그 후 천천히 깊게 내쉬는 한숨이 브레인 건강을 리셋시켜주며 일시적이나마 마음의 평온을 줄 수 있겠다.경희 한의원 칼럼 트라우마 한숨 척추근육 횡격막 호흡조절센터장 기능 횡격막 문제

2025-01-0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